한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국내 농식품 수출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관련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열린 대미(對美) 관세 대응 점검 회의 후 발표한 공식 성명을 통해 “미국은 우리 농식품 수출의 최대 시장이며, 최근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향후 성장 가능성도 큰 시장”이라며 “수출 업계 피해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주 미국 워싱턴 D.C.에 실무 협상단을 파견해 미국 측과 2차 기술 협의를 진행했다. 협상단에는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들도 포함되어 있으며, 현지에서 농식품 수출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정부는 미국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에 대응해 바이오의약품과 자동차 등 핵심 수출 산업에 대한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식품 수출업계 지원 방안도 그 연장선상에서 추진되는 조치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에 있어 미국의 관세 조치는 민감한 사안”이라며 “관련 부처와 긴밀히 협력해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수단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미국 시장 외에도 대체 수출 시장을 발굴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며, 특히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해당 지역에 대한 수출 확대 전략도 병행할 방침이다.